
내장함수 내장함수란 자바스크립트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를 내장 함수라고 합니다. 내장 함수는 이미 시스템에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정의하지 않고 주어진 원칙에 따라 사용하면 되는 함수입니다. forEach forEach 함수는 for문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for문처럼 index와 조건식, 증감 등을 정의하지 않아도 callback 함수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onst superHero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아래 방법은 forEach 함수를 이용해 원소를 hero라는 파라미터로 받아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function print(hero) { console.log(hero); }..

객체 다루는 방법 객체의 내부 요소를 출력하는 방법은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key, value를 한 쌍으로 묶어 배열로 출력하는 방법 2. key만을 배열로 출력하는 방법 3. value만을 배열로 출력하는 방법 const IronMan = { name: 'Tony Stark', alias: 'IronMan', actor: 'Robert Downey Jr.' } // key, value를 한 쌍으로 묶어 배열로 출력 console.log(Object.entries(IronMan)); // key만을 배열로 출력 console.log(Object.keys(IronMan)); // value만을 배열로 출력 console.log(Object.values(IronMan)); for .. in 함수를..

1. Logical Operators (논리 연산자) 1) OR ( || ) OR 는 [ shift + \ ]를 두 번 눌러 "||"로 사용합니다. 기본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식은 value1, value2, check() 중에 true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true를 반환하는 식입니다.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value 값을 확인하기 때문에 value1이 true인 경우 뒤에 있는 value2와 check() 값은 확인하지 않습니다. 만약 value1의 값이 굉장히 크고 복잡한 형태라면, value1의 값을 뒤로 미뤄 마지막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위의 식은 value1, value2, check() 중에 true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true를 ..

CSS 선택자(Selector)란? 선택자란 말 그대로 선택을 해주는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요소들을 선택해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바로 예제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복합선택자 일치선택자:: 조건을 만족해야 선택이 됩니다. 선택자가 span.orange인 경우에는 태그가 이면서 orange라는 클래스를 가지고 있어야 적용이 됩니다. 자식선택자::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E > F) :: 꺽쇠(>)가 선택자의 기호로 사용됩니다. 아래 코드는 ul 코드의 자식들(li) 중 orange 클래스를 갖고 있는 선택자만 선택합니다. 후손(하위) 선택자:: 후손 요소를 선택합니다. ( E F ) :: '띄어쓰기'가 선택자의 기호로 사용됩니다. div 코드 안에 있는 모든 태그들 중 orange..

인터넷 vs 웹 인터넷과 웹이라는 단어는 같은 뜻으로 혼용되기도 하는데,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인터넷은 무언가가 국경을 넘어 서로 얽혀있다는 점에서는 웹과 다르지 않지만, 인터넷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주고받는 컴퓨터끼리의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이고, 웹은 그 인터넷상에 정보가 얽혀있는 무형의 정보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에선 웹뿐 아니라 전자 메일과 같이 다른 서비스가 쓰이기도 하고, 웹은 그런 서비스 중 하나다. 하지만 인터넷의 활용도에 있어 웹이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다 보니 두 단어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1. 인터넷이란? 인터넷(Internet)이란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제는 전 세계..

웹개발이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위한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일을 가리킨다. 웹 개발은 가장 단순한 단일 정적 문서의 플레인 텍스트에서부터 가장 복잡한 웹 기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전자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개발 범위가 다양하다. 웹개발을 이해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다. 위의 사진들은 유명 포털사이트들의 홈페이지다. 웹개발 자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와 같이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페이지부터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까지 다양한 범위를 아우르고 있으나, 내가 설명하는 웹개발은 개발자로서 웹 페이지를 제작하고 운영하는 등의 내용까지만 포함한다. 웹개발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프론트엔드(Frontend), 백엔드(Backend) 이에 따라, 웹 개발자도 크게 2가지로 나뉜다: 프론트..

자바스크립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바스크립트JavaScript패러다임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스크립트 언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 명령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사건 기반 프로그래밍설계자 ko.wikipedia.org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자바스크립트 언어만의 특징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는 C언어 기반으로 C언어와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1.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2.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이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 3.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장단점 장점 html안에서 바로 script 태그안에서 코드를 작성 할 수..